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2기에 맞춘 투자생각 주절주절

경공자 2025. 1. 25. 08:5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공자입니다:D
 
1월 20일 트럼프 취임 관련해서 앞으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재임하는 기간동안 어떻게 투자를 해야할지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이 글에 작성되는 모든 것은 제 개인적인 생각이기에 여러분들의 생각과 다를 확률이 매우 크며, 틀릴 확률도 매우 크기에 재미용으로만 그냥 읽어주시면 감사합니다:)
 

관세 부과

트럼프는 취임을 하기 전부터 모든 국가에 관세를 때리겠다는 언급을 수도 없이 했었습니다. 그로인해 관세부과 수혜주가 상승하는 모습도 보여줬지만 일괄적인 관세부과는 사실 모든 국가에 동일하기에 지속적인 수혜는 힘들지 않을까요..? 또한 관세부과는 불가피하겠지만 트럼프 1기때와 비슷하게 트럼프의 관세 언급은 그가 원하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협상카드로 쓰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이 드네요.
 

친환경에너지 부정적

기존 트럼프와 해리스의 가장 큰 차이는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점이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그렇기에 트럼프 당선이 확정되자 해외를 비롯한 국내 친환경 에너지 관련 기업들도 일제히 급락을 피하지 못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때 급락한 친환경 기업에 투자를 시작했는데 투자를 시작한 이유는 이미 트럼프 당선으로 친환경에너지 기업에 대한 악재는 충분히 인식되고 반영되었다고 생각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는 정해져 있기에 지속적으로 성장해나가는 기업에 적립식으로 투자를 진행하면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트럼프의 언급으로 인한 주가의 급등락이 심해 지속적인 투자 여부는 고민을 좀 더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전기차 의무화 폐지

트럼프의 전기차 의무화 폐지는 친환경에너지의 연장선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각 나라에서 전기차 의무화를 선언했지만 전기차 시장의 캐즘이 오고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국가들도 생겨나고 있는만큼 트럼프의 해당 발언이 전기차 시장을 크게 흔들지는 않을거라 생각하기도 하며, 모든 전기차에 대해 악재라면 오히려 테슬라에게는 호재로도 작용하지 않을까도 생각이 들었습니다.
 

화성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는 트럼프의 발언으로 최근 우주항공 기업들이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보면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동안 이는 불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되지만.. 저렇게 발언한 것은 우주산업에 힘을 쏟겠다는 의미이기에 앞으로 트럼프 재임 기간동안 우주산업 관련 기업들에 대해 투자를 하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중국 방문

트럼프 대통령이 조만간 직접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만나겠다고 밝히면서 관세 등 무역문제 해결을 위한 '톱다운 정상외교'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언급도 한 바가 있고, 이미 바이든 정부에서 중국 규제에 큰 비중을 두었었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궁금한 부분입니다.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가 매우 강한 사람이기에 중국에 대한 규제는 지속될 것으로 보지만 관세를 무기로 중국에서 어떤 것을 받아낼지가 관건일 것 같습니다.
 

종전

러시아 푸틴에게 종전을 하지 않으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등의 제재를 예고한 바가 있으며 푸틴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부터 종전 협상에 대해 언제든 열린 마음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가 빼앗긴 영토를 그대로 두고 종전협상에 응할지가 궁금하네요.. 종전이 된다면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해야하기에 재건 관련 기업이 성장할 기회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

그린란드와 파나마 운하 언급 역시 이 카드로 인해 어떤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지를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미 캐나다를 51번 째 주로 편입하겠다는 언급을 한 것처럼 실제 일어나기 힘든 일이기에 트럼프가 진짜 원하는 것을 파악하는게 우선이라고 생각되네요.
 

AI 인프라 투자

"스타게이트는 차세대 AI 발전의 동력이 될 물리적, 가상적 기반 시설을 구축하기 시작할 것이며 여기에는 거대한 데이터센터 건설도 포함된다"로 말한 직후, 오라클을 비롯해 MS, Arm이 주목받았습니다. 하지만 AI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해주는 전력인프라도 함께 필요합니다. 이미 미국은 노후화된 전력기기로 잦은 블랙아웃이 일어나고 있어 전력기기의 수요가 많이 올라온 상태인데 여기서 AI 인프라 투자까지 이어진다면 '금광 옆에서 청바지를 파는 기업'처럼 전력기기 관련 기업이 가장 큰 수혜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반응형